목록분류 전체보기 (3)
pair
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DB)하고, 이를 관리(DBMS)하여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APP)해주는 시스템 2. 스키마와 인스턴스 1) 스키마(필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와 제약조건을 정의한 것 2) 인스턴스(레코드) : 스키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실제로 저장된 값 3. 데이터베이스 구조 1) 외부 단계: 개별 사용자 관점 (사용자) -> 데이터베이스 하나에 외부 스키마가 여러 개 존재할 수 있다. (1) 외부 스키마 : 각 사용자가 생각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습, 즉 논리적 구조로 사용자마다 다름 2) 개념 단계: 조직 전체의 관점 (프로그래머 단계) (관리인) -> 데이터베이스 하나에 개념 스키마가 하나만 존재(테이블이 하나만 존재해야한다.) ..
1. 파일 시스템 : 데이터를 파일로 관리하기 위해 파일의 생성, 삭제, 수정,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로 운영체제와 함께 설치된다. 1) 응용 프로그램별로 필요한 데이터를 별도의 파일로 관리한다. 2) 별도의 구매 비용이 들지 않지만 응용 프로그램마다 파일을 따로 유지해야 한다. 3) 문제점 (1) 데이터 중복성 : 응용 프로그램별로 파일을 유지하므로 같은 내용의 데이터가 여러 파일에 중복 저장된다. ① 저장 공간 낭비, 데이터 일관성과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2) 데이터 종송석 :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 파일에 종속적이다. ① 사용하는 파일의 구조를 변경하면 응용 프로그램도 함께 변경해야한다. (3) 데이터 파일에 대한 동시 공유, 보안, 회복 기능이 부족하다. (4) 응용 프로그..

1. 데이터와 정보 1) 데이터(data, 자료) : 현실 세계에서 단순히 관찰하거나 측정하여 수집한 사실이나 값 즉 가공(데이터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 2) 정보(information) : 의사 결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처리한 결과물 즉 가공(데이터 처리)된 데이터의 집단. 3) 데이터 처리(정보처리 : information processing) : 데이터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또는 방법. 즉 주어진 데이터 정보에서 목적에 맞는 정보를 얻는 일이다. 4) 정보 시스템 ; 조직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해두었다가 의사 결정이 필요할 때 처리하여 유용한 정보를 만들어주는 수단 (1) 경영 정보 시스템(MIS) : 기업의 경영 관리에 필요한 의사 결정용 정보 시스템 (2) 의..